강 좌
1Day
지금 결제하시지 말고 그린프라이데이 기다리세요
  • All products
  • 🎓멤버십
  • 왕좌의 게임
  • 🌱 씨앗 패키지
  • 🌿새싹 패키지
  • 학생
  • 다운로드
360,00€
cover image
시즌1-일반_나무(3년)🌳
420,00€
cover image
시즌1-일반_숲(영구)🌲
70,00€
cover image
시즌1-학생 씨앗(1년)🌱
140,00€
cover image
시즌1-일반_씨앗(1년)🌱
420,00€
cover image
시즌2-일반_숲(영구)🌲
360,00€
cover image
시즌2-일반_나무(3년)🌳
210,00€
cover image
시즌2-일반_새싹(2년)🌿
70,00€
cover image
시즌2-학생_씨앗(1년)🌱
240,00€
cover image
시즌2-일반_씨앗(1년)🌱
240,00€
cover image
시즌3-일반_새싹(2년)🌿
420,00€
cover image
시즌3-일반_숲(영구)🌲
360,00€
cover image
시즌3-일반_나무(3년)🌳


강사: 고정희 박사

3.SPACE 베를린 환경아카데미 대표

조경가 · 저술가
베를린 종합기술대학(공대) 공학박사
독일 칼 푀르스터 식물적용학 연구재단 이사장

저서 및 번역서
저서
  • 100 장면으로 읽는 조경사. 도서출판 한숲 2018
  • 식물,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 도서출판 나무도시 2012
  • 신의 정원, 나의 천국 – 고정희의 중세정원이야기 도서출판 나무도시 2011
  • 고정희의 바로크 정원이야기, 도서출판 나무도시 2008
  • 고정희의 독일정원 이야기, 도서출판 조경 2006
  • GARTEN ALS PARADIGMA. 베를린 공대 출판부 2006
  • Der Bornimer Kreis. 베를린 칼 푀르스터 재단 출판부 2001

번역서
  • 박본 희곡집. 오즈의 마법사 2018 
  • 페넬러피 홉하우스, 식물로 본 서양조경의 역사. 도서출판 대가 2015 (번역 감수 및 해설편 집필)
  • 니코 페히, 성장으로부터의 해방, 도서출판 나무도시 2015
  • 칼 푀르스터 외, 일곱계절의 정원으로 남은 사람 – 독일조경의 대부 칼 푀르스터 회고록 도서출판 나무도시 2013
  • 마리안네 푀르스터, 내 아버지의 정원 – 칼 푀르스터의 딸 마리안네의 정원일기. 도서출판 나무도시 2013




식물마을 회원제 도입에 관하여

식물적용학이 출범하고 나서 일곱계절이 여러 번 지났습니다. 식물적용학 강의를 들으신 분들이 모여 어느 새 식물마을이 형성했습니다. 
이제 그 마을에 숲을 만들 때가 된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렇게 말씀해 주셨죠.
“이 배움을 조금 더 오래, 깊이 이어가고 싶어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
식물적용학의 배움을 끝까지 이어갈 수 있는 새로운 제도, 회원제를 소개합니다.

나무회원(3년): 360 €
숲회원(5년): 500€



숲회원
식물적용학 배움의 숲으로 초대합니다. 
우선 앞으로 5년간 모든 시즌(Season 1–4) 을 무제한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5년 뒤에는 평생 회원으로 전환하실 수 있도록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미 수강하신 분은 이메일로 개별 전송해 드린 우대권(쿠폰)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메일 못 받으신 분들은 속히 문의 하세요. 우대권 사용은 12월 1일 자정에 마감합니다.

2026년 1월 7일부터 새롭게 시작하는 Season 4: 장소의 혼 강의(월 1회, 4년간 진행. 총 48강) 포함 
연 1회 정원 답사(영국, 독일+네덜란드, 프랑스+스페인, 이탈리아) 우선 신청 및 참가비 우대받습니다.

숲회원 안내서 다운받기



인기 강좌
조정우
강의를 듣고 나니, 왜 그렇게 화사하고 아름다운 꽃들을 심어도 금방 죽어버리거나, 혹은 잠시만 한눈을 팔면 어디선가 날아온 불청객들에게 자리를 내주고 마는지 그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왜 내 정원은 매번 실패할까' 고민했던 분들에게 이 강의를 추천합니다. 식물의 생리와 생태, 그리고 그들 간의 어울림을 이해하는 것이 아름다운 정원의 첫걸음이었습니다. - 국민대 공간디자인 학과 재학생
이안숙
정원 일을 시작하며 근본적인 질문들이 쌓여갈 무렵, 식물적용학을 만났다. 공부를 통해 정원은 식물이 살아가는 장소이며, 그들의 생육 환경을 이해하고 조성하는 것이 출발점임을 깨달았다. 식물적용학은 정원과 조경을 다루는 모든 이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기초학문이다. 강력 추천합니다! -지방정원 세미원 이사 · 조경가 · 가든트레블러
정홍가
정원 디자인을 하면서 품었던 여러 물음과 의문이 식물적용학 강의를 통해 싹 정리되었다. 식물적용학 개론편으로 그치는 것이 아쉬워 시즌2로 계속가자고 제안한 것을 고정희 박사님이 선뜻 받아들이셨다. 이후 인물편을 통해 유명 디자이너들의 작품세계에 대한 깊은 시각을 얻었다. - 쌈지조경 대표 · 조경가 · 정원작가
최수정
늦깎이로 정원계에 발을 들였습니다. 궁금한 것 투성이였죠. 자연주의 정원이란 무엇일까? 식재디자인은 또 어떻게 하는 걸까? 조경학과에 가도 배울 수 없다는 말에 막막했습니다. 그런 제게 식물적용학은 큰 선물이었습니다. 식물 생태부터 식물사회학까지 체계적으로 배우고, 또한 자연주의 정원의 역사와 현대 디자이너들의 작품 세계도 접했습니다. 실무에서 식물을 어디에 어떻게 심어야 할지 고민하셨나요? 그렇다면 식물적용학이 그 해답이 될 거예요. - 가드닝앤코 대표. 정원디자이너,
김미란
정원 일을 하면서도 늘 목마름이 있었습니다. 비전공자라 체계적인 강의가 필요했죠. 그러다 식물적용학을 만났습니다. 시즌 1, 2, 3을 거치며 풍부한 내용에 푹 빠졌습니다. 반복해서 들을 수 있는 점도 좋았습니다. 특히 인물편에서 다양한 정원 작가들의 이야기를 듣고 깊이 공감했습니다. 고정희 박사님의 강의는 진수성찬입니다. 두고두고 꺼내 보고 싶은 강의입니다. - 정원사
윤민영
식물적용학 시즌1을 듣고는 식물에 대한 이해가 한층 깊어졌고, 진로 방향을 구체화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시즌 2 강의에서는 정원 디자인에 대해 더욱 깊이 고민할 수 있었으며, 시즌3까지 듣고나니 이제는 답사 중 특정 디자이너의 작품이 자연스럽게 떠오를 만큼 시야가 넓어졌다. - 서울여대 원예생명조경학과
박준영
조경학과 재학 중에 식물적용학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깊이 있는 식물 지식 덕분에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식물의 생태적 특성부터 디자인 요소까지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학교 수업에서 배운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조경을 전공하면서 식물을 더 깊이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추천합니다! - 한국전통문화대학 전통조경학과